NFT 저작권 개념부터 침해 사례, 보호 방법까지 한눈에!
NFT(Non-Fungible Token)는 디지털 자산에 유일성을 부여하고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콘텐츠 창작자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NFT 발행과 판매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관련 분쟁과 법적 책임이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NFT 저작권의 개념, 실제 사례, 그리고 창작자가 알아야 할 보호 전략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NFT와 저작권은 다르다
많은 이들이 NFT를 구매하면 해당 작품의 저작권까지 보유한다고 오해합니다.
하지만 NFT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소유권 증명’일 뿐, 저작권 자체는 여전히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즉, NFT를 구매한 사람이 해당 작품을 복제하거나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는 기본적으로 없습니다.
저작권은 별도로 양도하거나, 라이선스를 명시적으로 부여해야만 이전됩니다.
2. NFT 저작권 침해 사례
⛔ 무단 발행 사례
유명 아티스트의 그림이나 사진을 제3자가 몰래 NFT로 민팅해 판매한
경우.
팬아트나 애니메이션 스틸컷을 사용해 NFT를 발행한 사례도 다수 존재합니다.
⛔ 상업적 이용 오해
NFT 구매자가 해당 이미지로 티셔츠를 제작해 판매하거나,
웹사이트에 사용한 사례.
이는 원작자의 동의 없이 2차적 저작물로 활용하는 것으로,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3. NFT 발행 시 저작권 보호 방법
NFT 창작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자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 등록: 한국저작권위원회나 저작권 등록기관을 통해 콘텐츠를 공식적으로 등록하면 추후 분쟁 시 유리합니다.
- 명확한 라이선스 고지: NFT 발행 시 "개인적 이용만 허용", "상업적 사용 금지" 등 이용 범위를 명시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메타데이터 활용: NFT 메타데이터에 저작권자 정보, 원본 링크, 저작권 조건을 삽입하면 추적 및 보호에 효과적입니다.
- 블록체인 활용 증거화: NFT 발행 이력, 최초 지갑 주소 등을 통해 저작권자의 존재를 명확히 증명할 수 있습니다.
4. 구매자의 저작권 이해
NFT 구매자는 단순히 소유권을 구매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작품을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반드시
별도의 저작권 계약 또는 라이선스 구매가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 프로젝트는 구매자에게 제한적 라이선스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 BAYC (Bored Ape Yacht Club): NFT 구매자가 자신의 원숭이 이미지를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
- Moonbirds: 초기에는 상업적 사용 불가였지만 이후 라이선스 정책을 변경.
따라서 NFT 구매 전 해당 프로젝트의 저작권 정책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5. 법적 분쟁 시 대응 전략
- 증거 확보: 민팅 시각, 원본 파일, 최초 업로드 플랫폼 등을 확보해 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 DMCA 요청: NFT가 무단으로 발행되었을 경우, 플랫폼에 삭제 요청(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을 할 수 있습니다.
- 법률 자문: NFT 법률에 정통한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분쟁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NFT는 디지털 창작물의 새로운 유통 구조이지만, 그만큼 저작권 이슈도 민감하게 작용합니다.
창작자는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알고 보호해야 하며, 구매자 또한 사용 범위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전한 NFT 생태계를 위해, 저작권에 대한 이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